생각메모

생각14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裸談 2012. 7. 12. 22:52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고 말한다.

정말 그럴까?

 

정학하게 말하면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하지만 성적이 좋으면 행복해질 가능성은 높다.

 

단지 과열된 분위기가 문제라면 문제.

그렇다면 치유 방향을 달리해야 하지 않을까?

 

행복이 성적순이었던 시대는 있었다.

 

춥고 배고팠던 시절

까막눈인 부모들은 왜 그렇게 다들 소 팔고 논 팔아서

자식을 서울로 유학을 시키고 대학으로 들이밀었을까?

 

그리고

그렇게 키워진 자식들은 많은 수가 불행하지 않았다.

 

이제 그 자식들이 성장하여

자식을 낳고 또 그 자식들이 자식을 낳고

세대를 달리 하는 사이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고 외치는 시대가 왔다.

 

입으로는 그렇다.

 

물론 그 시대보단 분야가 다양해졌다.

꼭 공부로, 성적으로만 가름하지 않아도 되는

다양성이 생겨난 것이다.

 

하지만

지금 당장 이 시대에

정말로 배움과 행복이 무관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겉으론 그렇게 외쳐대는 많은 사람들

속으로는 자식 공부에 아등바등 대고 있다는 걸

많은 상황 속에서 보고 듣는다.

 

과열된 분위기를 바꿀 필요는 있다.

 

공부가 좋아

학문연구에 몸을 던질 사람은 던지고

공부보단 팔딱거리며 

기술 습득에 몸을 던질 사람은 던지는

 

기름때를 묻히고 숯검댕이 되어도

자부심을 느끼며 먹고살 수 있는 사회

이론의 우수성만큼 실전기술 또한 떠받들어 주는 사회라면

고가의 학비를 들여가며 굳이 대학을 가지 않아도 된다.

 

돈이 없어서 대학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연구 보다는 현장기술에 뜻이 있어서 대학보다는 현장을 선택하고

아무리 비싸도 공부가 좋아 뜻한 바를 이루기 위해

스스로 학문의 필요성을 느껴서 대학이상의 과정을 선택한다면

 

한 쪽이 학문적 이론으로 성숙될 때

다른 한 쪽에선 현장감이 살아 있는 기술이 농익게 될 것이다.

 

그들의 인생 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면

나름대로의 가치가 인정되는 사회가 된다면

 

굳이 성적이 좋아야 행복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때야말로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자신의 최적화된 길을 가게 될 것이므로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게 될 것이다.